2021. 11. 24. 08:59ㆍCloud/AWS 기초
최근 출-퇴근을 할때 하는 게임이 있다. 넥슨에서 퍼블리싱을 하는 블루아카이브 라는 게임이다. 뭐 개임성이 어쩌고..는 모르겠고 그냥 귀여움+킬링타임으로 종종 한다. 그런데 이 개임을 하다보니 PTSD가 올 만한 상황이 발생했다.
아니 세상에 판사님 이게뭡니까 왜 나는 개임을 하면서도 공부를 해야하는거죠 CDN이 뭐하는 놈이길레 데이터를 못 받아온겁니까 그리고 왜 ) 가 하나 더 있는거죠 빨리 오탈자를 지우셔야 합니다.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하라는데 난 와이파이만 쓴다고 허브를 설치하고 라우터를 깔고 선을 연결하고 프로그렘은 하청의 하청의 하청에 주면 olle..꼴 나니까 그러면안ㄷ...
암튼 이번 시간에는 CDN이 뭔지에 대해 알아보겠다.
Content delivery network 또는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CDN)
이름에서 부터 '멋'이라는게 느껴지지 않는가? 21세기에 필수적인 컨텐츠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라는 의미이다. CDN은 지리적으로 이곳 저곳에 분산되어있는 여러 개의 서버 이다. 이거 어디서 많이 본거같은데..라고 느꼈다면 당신도 점점 이쪽업계(?)의 고인물이 되어가는 것이다. 바로 AWS의 cloudfront랑 같은 의미이다.
AWS에서는 CDN의 사용사례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1. 빠르고 안전한 웹 사이트 전송이 가능하다.
2. 동적 콘텐츠 전송 및 API가속화를 할 수 있다.
3. 라이브 및 온디맨드 비디오 스트리밍을 할 수 있다.
4. 패치 및 업데이트 배포를 할 수 있다.
즉 자동화된 네트워크 매핑으로 대기시간을 줄이고 AWS shield를 사용해 DDos에서 보호하고 사용자 요금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서버리스 컴퓨팅 환경으로 코드를 사용자가 지정할수있다.
한줄요약하면 네트워크의 ATM기와 같다고 보면 된다.
그런데 왜 굳이 많고많은(마법사들 중 내가 제일 잘나가) 서비스 업체 중에서 AWS를 소개하는 것일까. 별건아니고 중요한건데 옆동내 일본에서는 AWS를 통해 LOL, 쿠키런 킹덤, 블루아카이브 등을 서비스 하기 때문이다. ==> 즉 이 서버 사용하니까 여기 서비스를 설명한다~ 라고 보면 된다.
- 잡설 -
2021년 2월 19일 저녁 도쿄리전의 EC2가 장애가 발생했고 AZ에도 문제가 생김에 따라 서버가 영사기마냥 폭팔해버렸고 고가용성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여기에 대해서는 차후 다루도록 하겠다.
'Cloud > AWS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VPC part. 1(VPC란 무엇일까?) (0) | 2022.02.04 |
---|---|
AWS EC2 instance 의 운용방식 (0) | 2022.02.04 |
Amazon BigDATA part.2 (0) | 2021.10.12 |
Amazon Bigdata part.1 (0) | 2021.10.10 |
AWS Container part.2 (Docker 개요) (0) | 2021.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