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8. 11. 21:39ㆍCloud/AWS 기초
DataBase 서비스의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RDS, aurora,Amazon DynamoDB, ElasticCache가 있다.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관계형 DB 서비스이다. 오라클, mysql, mssql, mariadb 등에 대한 엔진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런 D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데 여기에 대한 인프라는 aws가 서비스를 해 준다.
주요 기술로는 DB이중화, Read REplica, 인스턴트 확장이 있다.
DB이중화(multi-AZ)
DB를 말 그대로 이중화 한다는 의미이다. 하나의 리전에 가용영역을 최소 2개를 사용한다. 가용영역1에는 주로 사용하는 마스터DB를 사용하며 가용영역2에는 마스터DB를 지원하기위한 슬레이브DB를 사용한다. 이 상황에서 슬레이브DB는 숨겨져 있는데 어떤 문제로 인해 마스터DB가 사용될 수 없을 경우 슬레이브DB가 마스터DB로 승격하여 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Read replica
마스터DB쪽에 많은 수의 로드 요청이 들어올때 부담을 줄이거나 다른 지역으로 분산을 하고 싶을때 사용해 DB에 몰리는 로드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인스턴스 확장
메니지먼트 콘솔로 간단히(몇번의 클릭)할 수 있다.
==> ec2의 인스턴트 페밀리 참조.(https://chicode.tistory.com/12)
Amazon Aurora
성능 및 비용효율성을 모두 확보한 DB엔진이다.
자체적으로 클러스터화 되어있는 DB이기 때문에 Multi-AZ가 되어있다. 즉 고가용성및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 또한 MySQL 5.6,PostgreSQL9.6과 완벽환 호환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 2가지를 사용하고 있을때 aurora를 사용해 덤프를 만든다거나 마이그레이션을 즉각적으로 할 수 있다.
Amazon DynamoDB
관리형 NoSQL DB서비스이다. 무한대로 확장이 가능하고 10ms미만의 빠른 응답속도를 자랑한다.
특징으로는 빠르고 일관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뛰어난 확장성, 그리고 완전 관리형이다.
람다와 함께 연동해서 이벤트 주도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엑세스 제어가 가능하다.
ElasticCache
인메모리 캐싱 서비스가 있는데 주로 Memcached, redis 서비스가 있다. 가장 응답속도가 빠른 서비스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Redis가 주로 활용된다.
'Cloud > AWS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Lambda(AWS람다란?) (0) | 2021.08.18 |
---|---|
AWS EC2의 시스템 인프라 (0) | 2021.08.12 |
AWS 스토리지 및 컨텐츠 배포 서비스(Amazon S3, EBS, cloud front) (0) | 2021.08.11 |
AWS computing service(EC2, Auto spaling, Lambda) (0) | 2021.08.11 |
AWS란 무엇일까??(AWS, cloud computing 소개) (0)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