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란?

2021. 8. 14. 23:05IT기초/IT기본용어

네트워크란?

클라이언트-서버가 서로 연결되어 통신하기 위한 HW/SW을 포함하는 모든 인프라.
이것을 연결하는데 여러가지 장비들이 있으며 각각의 장비의 말단에는 연결장치가 있는데 이것들이다.
 ==> 유, 무선 기기간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것이다.

네트워크가 발전됨에 따라 정보와 자료, 자원의 공유가 훨씬 편해졌다.
  ==> 내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기는 집에 있지만 나는 외부에서 스마트폰을 통해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여러사람이 사용할 데이터를 하나의 서버에 저장 후 공유할 수 있다. ex) 깃허브에서 코딩 데이터를 집단적으로 공유하며 발전시킨다.

인터넷(internet)이란 그럼 무엇일까?
전 세계의 LAN과 WAN이 연결된 거대한 네트워크이다.

주로 하나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TCP/IP)
웹브라우저(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해 인터넷을 이용한다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가까운 위치의 기기끼리 연결될 수 있도록 구축해놓은 통신망(한정된 좁은 지역에 구성된 네트워크)

보통 1Km안에서 통신할 수 있다. 하나의 사무실에서 L2계층인 switch(bridge) 스위치라는 기기를 통해서 pc끼리 통신을한다

Wide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망
광범위한 기기끼리 연결될 수 있도록 구축해 놓은 통신망이다. 원래는 50km이상을 커버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했으나 발전됨에 따라 1Km이상의 거리를 통신할 수 있으면 다 WAN라고 바뀌는 추세이다.
하나의 회사가 지부를 설립해 스위치 장치에 추가해 Router라는 기기를 이용해 지부끼리 연결을 한다.
보통 관리는 사내에서 해결하는것이 아닌 ISP업체가 담당한다.



인트라넷
intranet
군인들은 정말 익숙할 것 ==> 군용 인트라넷
회사에서 쓰는 여러 프로그램을 인터넷에서 사용하는것처럼 만든 내부 네트워크 == 권한을 가진 내부 사용자 이 외에는 사용할 수 가 없다.


엑스트라넷
extranet
기업에서 사용하는 인트라넷
기업 밖의 협력사, 고객에게 일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해 둔 것.
ex) 삼성,LG 등의 홈페이지에 있는 고객 불만사항 접수 창구 등



네트워크 방식

이더넷
일반 사무실, 혹은 피시방 등에서 사용하는 방식
대한민국의 약 80~90%이상이 상요중임
CSMA/CD라는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ollision Detection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감지
Carrier Sense 
==> 이더넷 환경에서 통신을 희망하는 PC가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이 되는지 확인
Multiple Access
==> 네트워크 상에서 두 개 이상의 PC나 서버가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서 충돌되는지 확인
Collision Detection
==> 두 개의 장비들이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려다 충돌되는경우

 ==> 데이터를 송신할때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모든 pc에게 송출한다. 이때 데이터에는 목적지에 대한 기록이 있다. 
이 데이터를 받은 pc는 목적지가 맞으면 데이터를 받고 그렇지 않으면 무시한다.
이런 방식은 쓸데없는 통신이 많은 단점이 있다.

토큰링
과거에 사용된 기술
상-하향 식이 아닌 옆으로 전달하는 방식
토큰을 가지고 있는 pc만 데이터를 보내는 권한을 가진다. 토큰을 가진 pc가 전송할 데이터가 없으면 그 토큰을 옆 pc로 전달한다.










'IT기초 > IT기본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 네트워크 관련 용어 및 추가 설명  (0) 2021.08.15
네트워크 주소 체계  (0) 2021.08.15
OSI 7 계층  (0) 2021.08.10
컴파일러  (0) 2021.08.10
Database?  (0) 2021.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