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8. 17. 18:04ㆍJAVA 기초(임시중단)
프로그레밍 이란것을 단 1번이라도 공부했다면 잊을 수 없는 그 단어
"hello XXX(배우는 프로그래밍 언어 혹은 wolrd)"
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앞으로 이어지는 모든 실습 환경은 이클립스를 기준으로 하도록 한다.
1번 라인부터 각각 해설을 해 보도록 하겠다.
1. package hello;
사전에 설정해 둔 페키지의 이름이다. 필자는 hello 라는 페키지를 설정했다.
2. public class HelloJava {
내가 사용할 클레스의 이름을 HelloJava로 명명했다. 그 이후 함수를 사용하기 위한 "{"을 사용해서 열어주었다.
3.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이라는 실행을 위한 '함수'라는것을 사용했다. 이 함수는 조금 특이한데 항상 클레스에 있는 것은 아닌데 그 이유는 일반 pc와 달리 웹 서버는 이클립스 등 특별한 도구 없이도 클레스를 구동해 주기 때문에 딱히 없어도 상관은 없다. 단 필자의 경우 PC에서 처음에 시작을 하기 위해서는 시작점을 잡아줘야하는데 그 시작점을 주었다.
4. System.out.println("hello,java");
하나의 statement를 형성했으며 항상 끝에는 ";" 을 사용해 준다. 마치 온점 "." 과 같다. 문제가 생기면 항상 빨간줄이 생긴다.
5. }
3번을 닫는 역활을 한다.
6. }
2번을 닫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하면 이 글을 읽는 당신도 자바를 통해 hello 라는 언어를 화면에 띄울 수 있다.
축하한다 이제부터는 당신도 프로그래머이다.
한국어의 경우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 와 같이 띄어쓰기를 하지 않게 되면 어떤 말인지 해석하기가 힘들어 지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같이 Java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만큼 문법도 굉장히 중요하며 자바 자체적으로도 문법적인 오류를 사용자에게 지적해준다. 아래의 그림은 그 예시다.
3번을 자세히 살펴보면 . 에 빨간줄이 있으며 그림1의 out과 무엇인가 다르다. 바로 함수를 지정하지 않고 명령어를 입력했기 때문이다. 6번의 올바른 명령어와는 out 이라는 명령어의 색, 기울기가 다르다.
6번의 명령어는 아무런 이상이 없기 때문에 변동사항이 없다.
8번의 경우 오타로써 println대신 printin을 사용했기 때문에 빨간색으로 믿줄이 그어져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용어 정리
class (클레스)
직역하면 교실이다. 학교를 생각해보자. 서울 초등학교 1학년 1반의 홍길동(남)과 김유리(여), 4학년 5반의 김기철(남)과 홍가영(여)이라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 4명을 공통점을 가진 2 그룹으로 묶는다고 가정했을 때 3가지의 수가 나올것이다.
같은 학년 (1학년, 4학년) |
홍길동 김유리 | 김기철 홍가영 |
같은 성별 (남자, 여자) |
홍길동 김기철 | 김유리 홍가영 |
같은 성씨 (김씨, 홍씨) |
홍길동 홍가영 | 김유리 김기철 |
여기서 같은 학년, 성별, 성씨 라는 개념을 클레스 라고 표현할 수 있다. 즉 같은, 혹은 유사한 특징을 가진 객체(학생)들의 특징(속성 == 학년, 성별, 성씨 등)을 분류해서 합쳐둔 것 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런 클레스의 이름은 항상 대문자로 시작해야하며 나중에 배울 변수와 메서드의 이름은 소문자를 사용하다 중간중간 단어가 바뀔 때 마다 대문자를 사용해 준다. ex)helloJava 카멜 로테이션, 즉 낙타의 등과같다고 한다.
packege (페키지)
클레스와 같이 비슷한 성격을 가진 클레스들을 묶어둔 자바의 디렉토리(소스들의 덩어리)이다. 페키지는 항상 소문자로 쓰는게 좋다.
자바를 구성할때 페키지를 먼저 만들고 시작하는게 좋다. 왜냐하면 페키지를 구축하지 않고 사용해도 특별히 문제되는것은 없지만 자바 소스는 페키지명과 함께 자바 클레스의 이름으로 구분을 하기 때문에 구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생성할 필요가 있다.
function (함수)
다행이 수학시간에 보던 그 함수와는 다르다. pc,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함수는 내가 명령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코드를 의미한다. 함수의 호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코드 위에서 함수를 부른다.
2. 코드가 동작한다.
3. 코드의 동작이 종료되고나면 함수가 종료하며 반환값을 코드에 반환하거나 그냥 종료한다.
이런 함수는 코드에 정의(지정)해 둬야지만 불러올 수 있는데 각종 프로그램 언어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둔, 혹은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자가 만들어둔 함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지정 함수 라는 개념을 통해 본인이 스스로 함수를 만들 수 도 있다.
다음시간에는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JAVA 기초(임시중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수와 논리 자료형 (0) | 2021.08.22 |
---|---|
문자 자료형 (0) | 2021.08.18 |
변수와 자료형 그리고 int (0) | 2021.08.17 |
자바 프로그래밍 (0) | 2021.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