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와 자료형 그리고 int

2021. 8. 17. 21:33JAVA 기초(임시중단)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변수란 무엇일까? 말 그대로 변화하는 수 라는 의미이다. 이와 반대로 고정되 있는 수를 보고 상수 라고 표현한다. 당연한 상식이지만 이것을 왜 알아야할까?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특별한 상황이 아닌이상 항상 고정되어 있는 숫자(예를들어 주민등록번호 등)를 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특정 시간마다 변화하는 숫자(나이, 물건의 구매/판매 시 물품의 갯수 등)도 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특정 값은 반드시 변화할 수 밖에 없고 이런 변화값을 프로그램에서 나타내야한다. 그렇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변수'라는것을 사용한다.

 

그렇다면 Java에서 변수를 선언(혹은 발표)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림1. 변수 출력(int)

내가 만들고 싶은 자료형 + 변수 이름 ; (" ; "는 필수다!)

으로 정말 가볍다

위의 명령어 에서는 int a; , a = 1; 이라는 변수를 선언했는데 풀이해 보자면 integer(정수형)의 약자인 int, 그리고 변수 이름으로서 a를 선언했다.

 

그림2.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들에 대한 예시

 

여기서 잠깐. 자료형 이란 무엇일까?


자료형(資料形) 또는 데이터 타입(영어: data type)은 컴퓨터 과학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실수치, 정수, 불린 자료형 따위의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분류로서, 더 나아가 해당 자료형에 대한 가능한 값, 해당 자료형에서 수행을 마칠 수 있는 명령들, 데이터의 의미, 해당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방식을 결정한다1) (출처 위키백과)

 

라고 한다. 사실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근하는 사람들은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를 확율이 굉장히 높다. 이것을 풀이하자면 다음과 같다.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언어의 표기는 숫자, 그리고 글자가 있다. 글자는 표음문자 표의문자, 숫자는 정수, 실수 등으로 나뉘지만 그런 고차원적인 것은 잠깐 생략해 두고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사용하는것을 생각해 보자.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환경이라고 한다면 숫자, 그리고 영어를 주로 사용한다.(개발자가 영문권 사람이므로. * 한국어로 할 수 있는 코딩인 '아희' 같은것은 예외로 하자.) 숫자는 양수(정수), 음수, 0, 소숫점자리를 가지고 있으며 영어는 abcd 와 같은 알파벳과 apple과 같은 단어들로 이루어져 있다. 

 

컴퓨터는 0, 1 밖에 모르기 때문에 이런것을 구분 할 수 없으며 이것을 구분하게 만들기 위해서 만든 것이 자료형이다.

참 거짓을 구분할 수 있는 boolean, 정수를 표현할 수 있는 integer, 알파뱃 하나하나를 표현할 수 있는 character, 단어 혹은 문장(띄어쓰기x)를 표현할 수 있는 string, 그리고 소숫점을 표현할 수 있는 double등이 있다.

우리는 위에서 변수를 선언한다 라는용어를 알게되었다.

이것은 pc에서는 해당 자료형의 크기 만큼 메모리를 사용하겠다 라는 의미를 가지게 된다. 자료형은 각각의 메모리를 사용하는데 int는 약 4bit를 사용한다. 변수를 선언하게 되면 변수의 사이즈에 맞는 적절한 메모리가 할당이 되며 그 메모리를 다시 참조할때는 변수의 이름을 참조하는 형식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변수의 이름은 영문자, 숫자를 사용하면 좋지만 숫자로 시작할 수 는 없다. 또한 특수문자의 경우 띄어쓰개 대신으로 "_"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변수는 특수한 경우로써 사용해서는 안 되는 단어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예약어(reserved word) 이다.
for int 등의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의미하며 기존에 만들어져있는 단어들은 사용해서는 안된다.

 

변수를 선언할때는 특히 약어 보다는 명확하게 표기하는것이 좋다. 예를들어 company라는 함수를 선언할때 c로 축약해서 표연할 경우 축약한 사람은 알 수 있을지 모르지만 다른 개발자가 본다면 어떤 의미인지 알 수 없을 확율이 높다.
또한 함수를 기록할때는 numberOFcompany 등의 형식으로 소문자 대문자 소문자 형식으로 표기한다.


* 참고 프로그렘에서는 = 가 같다는 의미가 아니라 ==가 같다는 의미이다.

 = 는 대입을 한다 라는 의미하며 왼쪽의 값이 오른쪽으로 들어간다 라고 생각해야함
 ex) a=10 이라고 한다면 a라는 변수를 쓸때는 10이라는 값을 사용한다.

 

* Java는 자료형의 타입이 기본형과 참조형 2가지의 자료형이 있다.

기본형
원래 언어에서 제공해 주는 자료형을 의미한다.
c에서 유례한 자료형이다. 몇 bit를 쓸 것인가에 대해 정해져 있다. 정수형 문자형 실수형 논리형 등이다.

참조형
클래스타입의 자료형이다. JDK에서 제공되는 클래스와 프로그래머가 정의하는 클래스가 있다. 각 클래스에 따라 사용하는 크기가 다르다.

'JAVA 기초(임시중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수와 논리 자료형  (0) 2021.08.22
문자 자료형  (0) 2021.08.18
hello java!  (0) 2021.08.17
자바 프로그래밍  (0) 2021.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