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맛코드

치킨맛코드

  • 분류 전체보기 (196)
    • Cloud (62)
      • AWS(Amazon Web Services) (2)
      • AWS 기초 (46)
      • OpenStack (4)
      • Microsoft Azure (7)
      • Ansible (3)
    • DevOps (58)
      • Terraform (2)
      • Docker & kubernetes (25)
      • DevOps기초 (9)
      • Prometheus & Grapana (2)
      • helm (1)
      • CKA Test 준비 (17)
    • IT기초 (21)
      • linux와 운영체제 (6)
      • IT기본용어 (14)
    • Django (17)
      • 네트워크 (12)
    • JAVA 기초(임시중단) (7)
      • IntelliJ & SpringBoot (2)
    • 잡다한 IT (26)
      • 개발자도 궁금한 IT인프라 (9)
      • Springboot와 AWS로 혼자 구연하는 웹 .. (5)
    • 리뷰 (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치킨맛코드

컨텐츠 검색

태그

도커 띠부씰 ssh 기능별 방화벽 docker compose Docker docker images 스크린드서브넷 세대별 방화벽 telnet Kubernetes 방화벽의 종류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AWS grafana error 리뷰 Grafana 베스쳔호스트 DHCP 쿠버네티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치킨맛 코드의 공부블로그 입니다

아카이브

Cloud(62)

  • AWS Container part.1(Container란 무엇일까?)

    선박, 건설현장, 영화 등 한 번쯤은 봤을 법한 컨테이너 박스이다. 현실에서는 운송업이나 건설업에서 사용하는 사물이나 사람을 보관할 수 있는 장소로써 쓰인다. 기본적으로 과거에는 대형 화물을 선박으로 옮겼고 이것은 고 비용이 들었던 방법이다. 18C부터 컨테이너 라는 개념이 활성화 되기는 했지만 1958년 국제 운송 컨테이너가 개발되며 표준화가 완료되었다. 이 시점 이후로 컨테이너는 일정하며 예측가능한 장점이 생겼다. 기차와 트럭, 배 등으로 손 쉽게 옮길 수 있게 되었고 이것은 "추상화를 사용해 민첩성을 높이는 훌륭한 예시"가 되었다. 뜬금없는지만 왜 이런 컨테이너에 대해 주저리 주저리 설명하고 있을까? 바로 AWS에서도 이런 컨테이너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컴퓨팅 세계에서의 컨테이너의 정의는 "모든 컴..

    2021.10.04
  • Amazon EC2 Part.3 (공유 파일 시스템)

    공유 파일 시스템(Storage) 네트워크를 만든 가장 기본적인 이유는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자유롭게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었다. 이와같이 instance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를 할 수 있는데 어떤 기술과 종류로써 공유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 여기서 말하는 네트워크는 인터넷 뿐 아니라 LAN, WAN등을 포함한 기기와 기기간 연결이 되어 서로 통신이 된다. 라는 큰 범위로 이야기 한다. 먼저 이전시간에 배운 EBS는 원칙적으로 1개당 1개의 인스턴스에만 연결이 된다. 즉 외장하드를 여기저기에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것과 같은 개념이다.(여러개를 연결할 수 있긴 하지만 일반적인 환경이 아닌 아주 특이한 케이스에서만 가능하다.) S3도 공유 스토리지 용으로 사용할 수 는 있다. 하지만 이상적이지는 ..

    2021.09.10
  • Amazon EC2 Part.2(데이터 저장)

    이전시간에 이어 이제는 instance가 사용하는 storag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인스턴스가 단독으로 사용하는 블록 레벨 스토리지는 2가지가 있는데 EBS(Elastic Block Store), instance storage 서비스 이다. 각각의 서비스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알아보자. EBS(Elastic Block Store)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만드는 어플리케이션이 블록 레벨 스토리지가 필요할때 사용된다.. 보통 이것은 SSD나 HDD에서 제공을 해 준다. 특히 instance storage와 달리 EBS는 휘발성이 아닌 지속적인 저장이 가능하다. 데이터 볼륨을 백업할 수 있는 스넵샷 기능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스넵샷은 WM웨어같은 프로그렘에서 사용하는 개념과는 조금 다르다. 완전..

    2021.09.08
  • Amazon EC2 part.1

    Elastic 이라는 단어는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있을까? 찰랑찰랑한 샴푸? 유연하다? 탄력적이다? 등등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Amazon에서도 이와 같은 컴퓨터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고 배포하기 위해 Amazon EC2(Elastic Compute Cloud)라는 서비스를 만들었다. 이 서비스는 일정한 규모와 크기로 사용하기 위해, 즉 트레픽의 변동이 그다지 크지 않은 일정한 환경에서 운영하는 에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이런 EC2서비스는 온프레미스 환경(현실)에서 서버로 구현했던 '모든 것'을 EC2에서 구현 할 수 있으며 EC2에서 만들어지는 '서버'도 마찬가지로 구현할 수 있다. 즉 EC2서비스는 가상의 서버를 만들고 관리를 하기 위해 만드는 서비스 이름이다..

    2021.09.08
  • Amazon S3 part.2

    S3는 저장용량이 엄청나게 큰 만큼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산 및 대규모 분석용{Data Lake(데이터 호수)} 데이터 스토어에 주로 사용한다. 주로 금용 거래 분석, 클릭스트림 분석, 미디어 트랜스코딩등의 처리를 한다. Data Lake(데이터 호수) = 여러 곳에서 데이터가 흘러 들어와서 한 곳에 모이는것을 의미한다. 우선 한 곳에 모든 데이터를 모은 후 필요한 데이터를 ETL과정을 거친다.{추출(Extract), 변환(Transform), 적재(Load)의 과정}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를 하기 위해 중앙 집중식으로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것을 만들때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가장 큰 고민은 얼마만큼의 저장공간을 확보해야하는지에 대해 고민하고 이 고민은 결국 부담이 되는데 S3의 경우 용량 제한이 ..

    2021.09.06
  • Amazon S3 part.1

    Amazon S3는 어떤 서비스 일까? 아마존에서 설명하기로는 저장공간을 제공해 주는 객체 수준의 스토리지 이다. 객체 스토리지 (Object-based storage device)라고 하는데 이렇게 거창한 단어는 무슨 의미일까? 우리가 평소에 웹 하드(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클라우드 등등)를 사용할때 어떻게 파일을 관리하는지 한 번 상상해 보자. 먼저 저장하고 싶은 파일을 업로드한다. 이 파일을 수정하고 싶을때는 다운로드를 받아서 수정 후 과거 파일을 지우고 수정된 파일을 다시 업로드한다. 이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하는 스토리지를 우리는 객체 스토리지 라고 표현한다. 즉 파일을 하나하나 확인하고 관리하는것이 아닌 객체(파일)단위로 관리한다 라는 것 이다. ==> 사용자가 필요한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그곳에..

    2021.09.06
1 ··· 6 7 8 9 10 11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