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9. 15. 16:40ㆍIT기초/linux와 운영체제
모든것이 윈도우를 기준으로 맞춰져 있는 대한민국의 경우 일반적인 사람들은 컴퓨터 1대당 1개의 운영체제(window)를 운용한다. 하지만 Window 사의 운영체제를 사용하지 않는 대표적인 기업 APPLE사의 경우 한국에서 필요한 window를 사용하기 위해 '부트켐프'라는 어플을 사용한다. 이와같이 window에서도 linux를 사용할 수 있는데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필자는 WMware라는 도구를 활용하도록 하겠다. 어플의 다운로드 링크는 아래를 확인 하면된다.
다운로드 링크 : VMware Workstation Player 다운로드 | VMware | KR
이곳에서 하단의 window용 workstation 16.0 player 사용해 보기를 클릭하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설치의 방법은 별 다를것 없이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설치하듯 다음 or OK or 동의합니다 를 계속 눌러주면된다.(필자 개인의 생각이지만 설치시 생기는 약관 등을 전부다 읽어보는 사람은 인류 역사에 손에 꼽을 정도라 생각한다.)
필자의 경우 16버전이 아닌 15.5버전을 사용해 설치를 완료했다.
다음의 화면은 15.5버전의 vmware의 구동 화면이다. 화면 정중앙의 큰 이모티콘은 왼쪽을 기준으로 새로운 VM(가상 운영체제)만들기, VM열기, 원격 서버에 접속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이정도의 영어는 해석을 하지 않아도 사실 읽을 수 있어야한다. 읽을 수 없다면 파파고 등을 활용해 공부해 보자 정말 쉽다.)
먼저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해 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필자는 Custom을 클릭해 생성하도록 하겠다.
HW의 compatibility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난다. 15.5버전의 가장 최신인 15.x를 설정한 후 netx를 클릭 해 준다. 필자의 경우 21년 서비스를 종료하는 centos8버전이 아닌 24년까지 유지되는 7버전을 기준으로 사용하도록 하겠다.
centos다운로드 사이트 : CentOS Linux
CentOS Linux
CentOS Linux Consistent, manageable platform that suits a wide variety of deployments. For some open source communities, it is a solid, predictable base to build upon.
www.centos.org
이곳에서 원하는 운영체제를 다운받으면 된다. 필자의 경우 가장 무난한 X86_64를 선택했다. 이곳에서 ISO를 다운받으면 된다. ISO를 다운 받은 후 사용하길 원하는 C 혹은 D에 다운받고 위치를 설정해 주면 된다. 필자는 HDD인 D드라이브에 모든것을 설정 했다. 또한 앞으로 있는 모든 설정은 개인의 PC환경에 맞추어 설정해야한다. (개인 PC의 RAM이 4GB인데 Wmvare에서 사용하는 RAM을 16GB로 설정한다면 운용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다음의 화면은 운영체제를 어디에 저장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이다. 이것도 개인의 선택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다음의 화면은 본인이 사용할 코어(정말 쉽게 표현하면 CPU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갯수를 설정하는 화면이다.
다음의 화면은 RAM의 용량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일반적로 1 GB인 1024MB가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여유 RAM의 값에 따라 최대 64GB까지 설정할 수 있다.
다음의 화면은 네트워크의 타입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필자는 하나의 PC에서 2대 이상의 Linux와 윈도우 서버를 연결할 예정이기에 NAT를 적용시킨 2번쩨 슬롯을 설정했다.
다음의 화면은 어떤 scsi 컨트롤러 유형을 사용할 것인지 물어보는 화면이다.
디스크를 선택하는 창이다. 어떤 부류의 디스크를 만들지 선택하면 된다.
필자의 경우 넉넉하게(?) 40GB를 설정했다.
다음 화면은 디스크의 이름 등을 지정하는 화면이다.
기타 가상 H/W의 설정값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finsh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기본적인 linux설정이 완료가 된다.
customize Hadware... 버튼을 클릭해 지금까지 설정한 H/W의 설정을 변경할 수 도 있으며 네트워크를 추가, 삭제할 수 도 있다.
이번 시간에서는 VMware를 통해 가상화된 Centos7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시간에서는 설치된 Centos를 어떻게 실제 pc에서 운용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IT기초 > linux와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Box 렌카드 전원 설정하기 (0) | 2022.04.06 |
---|---|
WSL2와 Ubuntu part.1 (0) | 2021.10.05 |
linux사용하기 part.1 (0) | 2021.09.28 |
VMware를 활용하여 Linux설치하기 part.2 (0) | 2021.09.23 |
linux와 운영체제 (0) | 2021.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