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2와 Ubuntu part.1

2021. 10. 5. 21:54IT기초/linux와 운영체제

ubuntu는 리눅스와 굉장히 유사한 OS이다. 둘 의 차이를 단 한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리눅스의 배포판 == 우분투'

 

종종 설치하고 사용해 봐야하는 우분투. 이것을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어떻게 설치해야하는지 알아보자. 우리는 먼저 WSL이라는 프로그렘을 설치해야한다. windows subsystem for linux, 즉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기능 이라는 의미이다. 리눅스의 기술인 ELF64바이너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 

 

이것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

 

GUI도 사용할 수 있고 CLI를 통해서도 활성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IT를 공부하기 때문에 조금 멋있게 CLI를 통해서 작업을 시작해 보자. 먼저 ctrl + r 을 눌러 명령창을 열고 powershell을 실행하자.

 

실행을 하게되면 뭔가 멋진 화면이 나타난다. 이제 이 powershell에 관리자 권한을 부여하자. 왼쪽 클릭 후 '관리자로 실행'을 클릭해 준다.

 

그러면 새로운 powershell이 나타나게 된다. 이 전에 실행한 프로그렘은 꺼두자. 

 

windows subsystem for linux활성화 명령어 :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 norestart

가상머신 플렛폼 기능 활성화 :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라는 명령어를 입력해 주자.

두 명령어가 완료된 이 후 재부팅을 해 두도록하자. 이제부터는 WSL명령어가 실행된다!! 재부팅을 완료한 후 다시 powershell을 켜주자. 그 이후 wsl이라고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이 얼마나 친절한가. 사랑해요 MS(취업 좀 시켜주세요 굽신굽신

이 링크를 실행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서 우분투를 검색하도록 하자. 우리는 20.04LTS를 설치할 예정이니 이것을 다운받도록 하자. 심지어 무료다!

뭐가 이것저것 지나간다. 얌전히 기다리도록하자. 혹시 로그인을 해 두지 않았더라면 딱히 상관없으니 무시하면된다. 설치가 완료되고 나서 MS Store에서 시작 버튼을 누르면 인스톨이 시작된다.

시간이 지나면 설치가 완료되고 우분투가 실행된다!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나면 우분투 쉘이 실행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짝짝짝 축하한다! powershell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니 확인하길 바란다.

다음 시간에는 가상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