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맛코드

치킨맛코드

  • 분류 전체보기 (196)
    • Cloud (62)
      • AWS(Amazon Web Services) (2)
      • AWS 기초 (46)
      • OpenStack (4)
      • Microsoft Azure (7)
      • Ansible (3)
    • DevOps (58)
      • Terraform (2)
      • Docker & kubernetes (25)
      • DevOps기초 (9)
      • Prometheus & Grapana (2)
      • helm (1)
      • CKA Test 준비 (17)
    • IT기초 (21)
      • linux와 운영체제 (6)
      • IT기본용어 (14)
    • Django (17)
      • 네트워크 (12)
    • JAVA 기초(임시중단) (7)
      • IntelliJ & SpringBoot (2)
    • 잡다한 IT (26)
      • 개발자도 궁금한 IT인프라 (9)
      • Springboot와 AWS로 혼자 구연하는 웹 .. (5)
    • 리뷰 (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치킨맛코드

컨텐츠 검색

태그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ssh DHCP Kubernetes docker images AWS 기능별 방화벽 grafana error 방화벽의 종류 telnet 세대별 방화벽 리뷰 베스쳔호스트 띠부씰 스크린드서브넷 Grafana docker compose 도커 Docker 쿠버네티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치킨맛 코드의 공부블로그 입니다

아카이브

분류 전체보기(196)

  • 컴파일러

    컴파일러 시스템 프로그렘의 일종 사람과 pc는 서로 사용하는 언어(명령어)가 다르다. 언어(python, c, c#, java등등)의 문법에 맞게 명령들을 기술한 파일을 소스파일이라고 하는데 이 원시 파일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 코드로 번역하는 과정을 컴파일 이라고 한다. 즉 컴파일은 프로그레머가 논리적인 명령을 만들어둔 소스파일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 코드인 exe파일로 변환해 주는것을 의미한다. 컴파일 동작을 하는 것을 컴파일러 라고 한다. 이 컴파일러는 pc언어의 갯수만큼 존재한다 고 보면 된다.

    2021.08.10
  • Database?

    Database(DB)란?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하나. 통합관리를 위해 구조화 하여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체이다. DB의 특징으로는 총 4개가 있다. 1. 데이터베이스는 중복을 최대한 배제해야한다. ==> 같은 자료를 중복해서 보관하게 된다면 HW/SW적으로 낭비다. 2. 데이터베이스는 저장성을 띈다. ==> 어딘가에(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이다. 3. 데이터베이스는 목적성을 가진다. ==> 아무런 이유없이 저장되어 있는 것은 없어야한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에는 임시로 모아둔 데이터나 단순 입출력 자료가 아니기 때문이다. 4. 데이터베이스는 공유성을 가진다. ==> 한 사람이 아닌 여러사람이 같이 사용하는 공동자료로써 가진다. 표1 은 별다방의 방문자를 대상으로한 코로나 문진표 이다. 이것을 DB화 ..

    2021.08.10
  •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의 구조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의 구조 클라이언트 pc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서버 컴퓨터와 통신하고 있는 상황을 도식화 한 것이다. client == > 의뢰인, 고객, 주로 받는역할을 하는 PC, server에 1을준다 server == > 서비스를 하는 사람, 주로 주는 역할을 하는 PC, client에 100개를 준다 클라이언트 pc는 익스플로러를 통해 네이버, 구글 등에 접속을 한다 이때 PC에서 일어나는 상황은 이러하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PC는 윈도우를 사용하며 웹서버는 리눅스를 사용한다. https://www.naver.com라는 domain를 입력해 네이버에 접근하고자 할때 domain이란? == ip대신 사람이 볼 수 있는 서버 주소이다. PC는 192.168.10.1 과 같은 IP를 해독하기 쉽..

    2021.08.10
  • 서버와 메인프레임

    서버(server)와 메인프레임(mainframe) server란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것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it에서는 웹 서버(web server)를 의미한다. 이 웹 서버는 pc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중 소프트웨어에서 말하는 서버를 의미하는데 소프트웨어 == > 웹서버 == HTTP, HTTPS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웹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서버를 의미한다 Http, https란?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약속)이다.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http에 데이터 암호화를 추가한 -즉-보안(secure) 요소를 추가한 프..

    2021.08.09
1 ··· 30 31 32 33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