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맛코드

치킨맛코드

  • 분류 전체보기 (196)
    • Cloud (62)
      • AWS(Amazon Web Services) (2)
      • AWS 기초 (46)
      • OpenStack (4)
      • Microsoft Azure (7)
      • Ansible (3)
    • DevOps (58)
      • Terraform (2)
      • Docker & kubernetes (25)
      • DevOps기초 (9)
      • Prometheus & Grapana (2)
      • helm (1)
      • CKA Test 준비 (17)
    • IT기초 (21)
      • linux와 운영체제 (6)
      • IT기본용어 (14)
    • Django (17)
      • 네트워크 (12)
    • JAVA 기초(임시중단) (7)
      • IntelliJ & SpringBoot (2)
    • 잡다한 IT (26)
      • 개발자도 궁금한 IT인프라 (9)
      • Springboot와 AWS로 혼자 구연하는 웹 .. (5)
    • 리뷰 (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치킨맛코드

컨텐츠 검색

태그

Grafana docker images Docker 도커 telnet 기능별 방화벽 AWS 세대별 방화벽 베스쳔호스트 Kubernetes 스크린드서브넷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ssh 방화벽의 종류 리뷰 DHCP grafana error 띠부씰 쿠버네티스 docker compos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치킨맛 코드의 공부블로그 입니다

아카이브

분류 전체보기(196)

  • 문자 자료형

    문자 자료형 이전시간에 말했듯 컴퓨터는 0, 1 말고는 아는것이 없다. 그렇다면 abcd와 같은 영단어를 어떻게 알까? 바로 문자세트를 통해 인코딩, 디코딩 하는 과정을 통해 상호간에 해석을 할 수 있게 해준다. * 인코딩 - 각 문자에 따른 특정한 숫자 값(코드 값)부여 디코딩 - 숫자 값을 원래의 문자로 변환 문자세트 인간이 기록하고 사용하는 문자를 위해 코드 값(숫자 값)들을 정해 놓은 세트이다. 대표적으로 아스키코드와 유니코드가 있다. 아스키(ASCII) : 1bit를 사용하는 문자표로써 표현하는데 복잡하지 않은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 등의 표현을 하는 단어이다. 유니코드(Unicode) : 1bit로는 표현할 수 없는 멀티바이트가 필요한 한글과 같은 복잡한 언어(영어는 apple라는 알파뱃 5..

    2021.08.18
  • 변수와 자료형 그리고 int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변수란 무엇일까? 말 그대로 변화하는 수 라는 의미이다. 이와 반대로 고정되 있는 수를 보고 상수 라고 표현한다. 당연한 상식이지만 이것을 왜 알아야할까?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특별한 상황이 아닌이상 항상 고정되어 있는 숫자(예를들어 주민등록번호 등)를 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특정 시간마다 변화하는 숫자(나이, 물건의 구매/판매 시 물품의 갯수 등)도 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특정 값은 반드시 변화할 수 밖에 없고 이런 변화값을 프로그램에서 나타내야한다. 그렇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변수'라는것을 사용한다. 그렇다면 Java에서 변수를 선언(혹은 발표)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내가 만들고 싶은 자료형 + 변수 이름 ; ..

    2021.08.17
  • hello java!

    프로그레밍 이란것을 단 1번이라도 공부했다면 잊을 수 없는 그 단어 "hello XXX(배우는 프로그래밍 언어 혹은 wolrd)" 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앞으로 이어지는 모든 실습 환경은 이클립스를 기준으로 하도록 한다. 1번 라인부터 각각 해설을 해 보도록 하겠다. 1. package hello; 사전에 설정해 둔 페키지의 이름이다. 필자는 hello 라는 페키지를 설정했다. 2. public class HelloJava { 내가 사용할 클레스의 이름을 HelloJava로 명명했다. 그 이후 함수를 사용하기 위한 "{"을 사용해서 열어주었다. 3.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이라는 실행을 위한 '함수'라는것을 사용했다. 이 ..

    2021.08.17
  • 자바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이 무엇이며 자바는 또 어떤 언어일까? 사람과 사람이 대화를 하기 위해서는 언어를 사용한다. 그것처럼 pc에게 사람이 명령해 일을 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명령을 시킨다. 그때 사용하는 언어가 프로그래밍이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언어만 가지고 있어도 pc는 이해를 할 수 없는데 pc는 기본적으로 기계어로 변환을 해야하는데 이 과정을 컴파일러 라는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컴파일 이라고 한다. 자바? 1995년에 제임스 고슬링에 의해 탄생했따. 자바 탄생 전에 있던 c/c++등의 언어는 직접 메모리를 헨들링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고 이로 인해 프로그렘이 비 정상적으로 다운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런 일이 발생하게 되면 가전제품이나 시스템 등에 대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게었다. 이런 단점을 극..

    2021.08.16
  • 기타 네트워크 관련 용어 및 추가 설명

    tcp/ip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인터넷의 공용어 개념이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중 하나이다. ip address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반드시 1개 씩 주어진 ip주소이다. ip는 공인ip 사설ip로 나뉜다. 공인 ip는 mac address와 같이 전 세계에서 단 하나씩만 배정받는 주소이며 이것을 관리하는 기관은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이다. NIC(network interface card)네트워크 카드, 모듈 ==>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와 다르다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와는! 데이터를 케이블을 통해서 허브, 스위치, 라우터 등을 전달하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

    2021.08.15
  • 네트워크 주소 체계

    네트워크 주소 체계는 mac address, ip address로 두가지가 있다. 각각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mac address 기기별로 할당되어 있는 물리적인 주소라고 표현하며 사람의 주민등록번호와 유사한 개념이다. Mac address는 총 48bit(6octet)를 가지고 있으며 앞의 24bit는 OUI코드 라고 명명하는데 이것은 하드웨어를 만든 생산회사의 주소를 의미한다. 그렇기에 각 기기별로 유일하게 가지고 있는 주소이며 장비가 파손되기 전까지는 유효하다.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는 모든 기기는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를 구분하기 위해 MAC주소를 가지고 있다. 48bit는 16진수로 표현을 하며 2진수 4개를 묶어서 16진수 1자리로 표현한다 ==> 16진수 12자리로 mac ad..

    2021.08.15
1 ··· 27 28 29 30 31 32 33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