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맛코드

치킨맛코드

  • 분류 전체보기 (196)
    • Cloud (62)
      • AWS(Amazon Web Services) (2)
      • AWS 기초 (46)
      • OpenStack (4)
      • Microsoft Azure (7)
      • Ansible (3)
    • DevOps (58)
      • Terraform (2)
      • Docker & kubernetes (25)
      • DevOps기초 (9)
      • Prometheus & Grapana (2)
      • helm (1)
      • CKA Test 준비 (17)
    • IT기초 (21)
      • linux와 운영체제 (6)
      • IT기본용어 (14)
    • Django (17)
      • 네트워크 (12)
    • JAVA 기초(임시중단) (7)
      • IntelliJ & SpringBoot (2)
    • 잡다한 IT (26)
      • 개발자도 궁금한 IT인프라 (9)
      • Springboot와 AWS로 혼자 구연하는 웹 .. (5)
    • 리뷰 (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치킨맛코드

컨텐츠 검색

태그

ssh 도커 docker compose 쿠버네티스 방화벽의 종류 telnet 세대별 방화벽 리뷰 띠부씰 기능별 방화벽 grafana error Docker DHCP 베스쳔호스트 Grafana docker images 스크린드서브넷 Kubernetes AWS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치킨맛 코드의 공부블로그 입니다

아카이브

분류 전체보기(196)

  • AWS란 무엇일까??(AWS, cloud computing 소개)

    아마존 기업 소개 아마존이란 기업은 1994년 책 사업을 시작으로 다양한 미디어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확장, 2006년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업화 하기 시작한 미국의 미디어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회사이다. 워싱턴 시애틀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주요 사업으로는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아마존 프라임 등이 있다. 그럼 이 아마존이란 기업에서 만든 AWS 란 무엇일까? 아마존 웹 서비스 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기본적으로 웹 서비스를 cloud computing을 통해 제공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인공지능, 챗봇, 머신러닝, 딥러닝 등의 기술을 벤치마킹, 혁신, 사업화했다. 그렇다면 cloud computing이란 무엇인가? 쉽게 말해서 수도세와 같다. 대한민국의 수도세는 내가 물을 ..

    2021.08.11
  • X86, 그리고 CPU

    x86이란 명칭이 왜 유행하고 명사가 되었는가? 바로 인텔사의 cpu 80286을 기반으로 점차 기술을 개선하며 386,486,586이라는 명칭으로 명명하여 불렀다. 특히 586펜티엄은 전 세계적으로 히트를 기록했고 이때 x86이라는 인텔의 cpu아키텍처 명칭이 사람들의 인식에 박히게 된 것이다. * 대한민국에서 세대를 나누는 386세대, 486세대 등은 조금 명확하게 구분하면 1990년대 30대이고 80대인 학번 그리고 60년대 출생을 의미하는 386세대를 시작으로 앞자리가 바뀌는 486로 바뀐다. 이런 n86을 나눠 부르는 것은 인텔사의 n86시리즈가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최초의 x86은 16비트에서 시작하여 32, 64비트까지 점점 성장해 왔다. 2000년대 초반은 가정용 pc는 32비트,..

    2021.08.11
  • 유닉스!

    유닉스? 메인프레임보다 더 작고 더 접근하기 쉬운 시스템을 개발했는데 이것이 유닉스 이다. 1980년대 부터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IBM, HP, 선마이크로시스템즈 등 3사가 유닉스 서버에서 강세를 보였다. 1990년대 말부터 시작해서 ‘서버 가상화’라는 개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메인프레임의 LPAR(Logical PARtition)같은 논리 파티셔닝 기술이 유닉스에도 적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논리파티셔닝? 물리적인 서버 1대에 여러 논리적인 서버를 설치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개념. Cpu, 메모리, 입/출력 자원 등을 분할해서 사용하는것이다. 서버 가상화 기술 OS OS OS 논리서버(가상서버) 논리서버(가상서버) 논리서버(가상서버) cpu 메모리 물리서버 하나의 PC(물리서버)에 ..

    2021.08.11
  •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

    구글 에널리틱스(google analytics) 2005년 11월 출시된 구글에서 지원하는 무료 웹 로그 분석 도구이다. 사용자의 웹 페이지에 어떤 사람이 어떤 방법으로 접근하는지를 파악하며 이를 바탕으로 시장을 파악하며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솔루션을 사용할 수있다. 의사결정을 한다는것은 결국 사용자(본인)이 하는것 이기 때문에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해 이를 정보로 가공하고 분석, 통합, 가시화를 얼마나 잘 하느냐에 따라서 성공적인 의사결정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다. 장점 종합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 어떤 방향과 방법으로 접근하며 내가 만든 사이트 및 앱을 사용하는지 분석할 수 있으며 어떤 데이터가 사용자들의 관심을 유발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구글에서만 얻을 수 있는 분석 정보를 ..

    2021.08.10
  • OSI 7 계층 중 1~4계층 정리.

    L1,L2 등 L 은 layer(계층)의 약자를 의미한다. L1 LV장비 = repeater, 케이블, dummy hub 등이 대표적이다. ==> PC뒤에 혹은 공유기 뒤에 연결되어있는 케이블 L2 = 스위치switch(엑세스 스위치or 스위칭 hub) 서버워 직접 연결되는 장비, 데이터 링크 계층까지 참조해 송신자의 헤더에 포함된 목적지 mac주소를 확인, 이후 자신의 MAC주소 테이블을 참조해 데이터를 전달한다. hub와의 차이점은 포트별로 다른 속도 제공하며 각각의 포트는 고유의 MAC주소 보유한다. loop방지란?? 네트워크 안에 1개 이상의 스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브로드캐스트 스톰(broadcast storm)을 일으키게 되는것을 의미한다. 보통 서버 구성 시 스위치 장비의 장애를 대비하기 위해..

    2021.08.10
  • OSI 7 계층

    OSI7 Layer 모델 국제 표준화 기구가 1984년에 발표를 했는데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7단계로 구분을 해 open system interface 7를 만들었다. OSI 7 계층 의 장점 데이터의 흐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즉 통신간 어떤 내부 요소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네트워크 케이블의 규격(1계층), 전송받은 데이터는 크롬(7계층)을 통해서 실행한다. Trouble shooting이 쉽다. ==> 어떤 한 순간에 일어나기도 하지만 다각적, 다방면으로 접근해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데 각계층의 문제가 해결이 되었는지를 대조해 보면 조직적이고 구조적으로 TS를 파악하고 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라는것을 공부할때 동작 과정을 쉽게 습득할 수 있다. ==> 각 단계별로 나..

    2021.08.10
1 ··· 29 30 31 32 33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