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맛코드

치킨맛코드

  • 분류 전체보기 (196)
    • Cloud (62)
      • AWS(Amazon Web Services) (2)
      • AWS 기초 (46)
      • OpenStack (4)
      • Microsoft Azure (7)
      • Ansible (3)
    • DevOps (58)
      • Terraform (2)
      • Docker & kubernetes (25)
      • DevOps기초 (9)
      • Prometheus & Grapana (2)
      • helm (1)
      • CKA Test 준비 (17)
    • IT기초 (21)
      • linux와 운영체제 (6)
      • IT기본용어 (14)
    • Django (17)
      • 네트워크 (12)
    • JAVA 기초(임시중단) (7)
      • IntelliJ & SpringBoot (2)
    • 잡다한 IT (26)
      • 개발자도 궁금한 IT인프라 (9)
      • Springboot와 AWS로 혼자 구연하는 웹 .. (5)
    • 리뷰 (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치킨맛코드

컨텐츠 검색

태그

AWS 쿠버네티스 telnet 띠부씰 베스쳔호스트 DHCP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기능별 방화벽 리뷰 Kubernetes docker images grafana error Grafana ssh 방화벽의 종류 Docker docker compose 스크린드서브넷 세대별 방화벽 도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치킨맛 코드의 공부블로그 입니다

아카이브

분류 전체보기(196)

  • 컴알못을 한 번에 이해시키는 방법.(feat 에타)

    난 이걸보고 몇 번이나 감탄했는지 모르겠다.

    2021.10.04
  • Session과 JWT 그리고 Cookie

    정말 뜬금없지만 어릴적 자주 보던 만화 '스폰지밥'의 한 장면이다. 스폰지밥이 할머니댁에 방문해 우유에 쿠키를 찍어 먹는 장면이다. 이 장면을 볼때마다 참 맛있겠다 라는 상상을 하곤 했다. 뜬금없이 왜 먹는 쿠키 이야기를 할까?? 인터넷에도 쿠키라는게 존재한다. 다음의 화면은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라는 브라우저의 설정창에서 쿠키를 검색했을때 나타나는 화면이다. 주로 기록, 암호, 쿠키, 데이터 등이 연관이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인터넷에서 말하는 쿠키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쿠키를 사용하게 되면 서버에 있는. 우리가 쿠키를 사용하게 된다면 서버에 있는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넣거나 수정할 수 있게 되며 이 속에는 인증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언어 설정, 도메인에 따른 유통기한 등)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

    2021.10.04
  • 3계층의 IP

    3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면 ip라고 할 수 있다. 즉 주소값이 중요한데 ip의 구조를 먼저 알아보도록 하자. ip를 이해하기 가장 좋은 방법은 '주소값' 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편하다. 예를들어서 어딘가로 이동하고 싶을 경우 원하는 주소를 네비를 통해 입력한다.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 XXX-XX이라고 입력을 하게되면 네비는 그 주소로 안내해 준다. 여기서 현실세계의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 XXX-XX는 PC세계의 IP와 같다. 이런 IP를 관리하는 기관은 "IANA"라는 기관이다. 기관에서는 먼저 대륙별(남미, 아프리카, 유럽 등등)로 구분하여 이 후 그 대륙에 있는 국가별(한국, 미국, 일본 등)으로 나누어서 관리를 한다. 2^32가짓수의 IP를 관리하기 위해 A~E까지의 5계층(class)으로 ..

    2021.10.04
  • frame이란?

    PDU(protocol data unit)의 한종류인 fram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ehternet frame format의 2종류인 LLC와 MAC이다. 기본적으로 이더넷은 비 표준 규격이다. 그렇기에 하나의 L2계층이라 생각하는게 편하다. 표준은 3계층과 연동되는 LLC(logical link control, ieee 802.3)과 1계층과 연동되는 MAC(media access control, ieee 802.2)을 사용한다. 표준방법은 서브웨어(2개를 나눠서) 이야기한다. LLC 네트워크 로걸 장비간 논리적 연결(L3)을 지원한다. Ieee 802.2 를 통해 사용된다. MAC 네트워크 매체(케이블)에 대한 접근을 통제한다. 이전 시간에 배운 CSMA/CD를 통해 매체 접근을 제어한다. ..

    2021.10.02
  • LAN 통신이란??

    90년대 중 후반 남성들 중에서 이 화면을 안 본사람은 없다고 생각한다. 민속놀이 혹은 애국가5절이 포함되어 있는 스타크레프트1 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LAN)'. 도대체 이건 뭐하는 것일까? 단어를 풀어쓰면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이다. 보통 회사 내부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사용한다. 보통은 OSI 7 계층에서 주로 2계층과 연관이 되어있는데 통신방법은 Ethernet(이더넷)을 사용한다. 통신을 할 때 서로 구분하기 위해서 기기마다 고유하게 지정되어 있는 MAC address(맥주소)를 사용하며 Frame이라는 형식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이더넷의 통신 규칙은 CSMA/CD라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half duplex에서 동작하는 링크에서 ethern..

    2021.10.02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 무엇일까?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라우터에서 많이 사용되는 서비스이다. 직독 직해를 하면 '네트워크 주소 변환'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우리는 왜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하고 사용해야할까??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ip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최초로 IP라는 개념을 만들때 개발자들은 약 40억개가 넘는 ip를 만들었다. 이렇게 많은 ip를 개발자들은 다 쓸것이라고 상상하지 않았다. (앞으로 말하는 ip는 특별한 말이 없으면 전부 공인 ip를 지칭한다. 이와 반대되는 사설 ip는 중첩되는 ip를 만들고 싶은만큼 만들 수 있다.) 이정도면 뭐...인류가 망하기전까지 쓰지않겠냐..? 라는 생각이었지만 어림도없지 ㄹㅇㅋㅋ 하지만 개발자들의 생각과는 달리 인류의 ..

    2021.09.28
1 ··· 22 23 24 25 26 27 28 ··· 33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