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맛코드

치킨맛코드

  • 분류 전체보기 (196)
    • Cloud (62)
      • AWS(Amazon Web Services) (2)
      • AWS 기초 (46)
      • OpenStack (4)
      • Microsoft Azure (7)
      • Ansible (3)
    • DevOps (58)
      • Terraform (2)
      • Docker & kubernetes (25)
      • DevOps기초 (9)
      • Prometheus & Grapana (2)
      • helm (1)
      • CKA Test 준비 (17)
    • IT기초 (21)
      • linux와 운영체제 (6)
      • IT기본용어 (14)
    • Django (17)
      • 네트워크 (12)
    • JAVA 기초(임시중단) (7)
      • IntelliJ & SpringBoot (2)
    • 잡다한 IT (26)
      • 개발자도 궁금한 IT인프라 (9)
      • Springboot와 AWS로 혼자 구연하는 웹 .. (5)
    • 리뷰 (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치킨맛코드

컨텐츠 검색

태그

방화벽의 종류 기능별 방화벽 쿠버네티스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세대별 방화벽 docker compose DHCP Grafana Kubernetes telnet ssh AWS Docker 베스쳔호스트 grafana error 스크린드서브넷 docker images 도커 띠부씰 리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치킨맛 코드의 공부블로그 입니다

아카이브

분류 전체보기(196)

  • 2.4GHz vs 5GHz

    우리는 종종 와이파이를 검색할때 2.4GHz라는 것과 5GHz라는 것을 보곤한다. 왜 굳이 귀찮게(?) 이것을 나눌까? 주파수 대역 이라는 단어를 알아볼 필요가있다. 주파수 대역 데이터를 전달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이다.(전파가 눈에 보인다면 세상은 훨씬 살기 힘들 것이다. 귀X의 칼X에서 빈틈의 실이 계속 보여서 시아를 가린다고 생각해보라. 끔찍하다) 일반적으로 공유기는 2.4GHz or 5GHz의 전파를 가지고 있다. 2.4GHz는 가장 보편적이며 일반적인 주파수이며 대부분의 기기에서 발산할 수 있다. 2.4GHz만 사용하는 공유기를 single band router라고한다. 기본적으로 표준 대역이다. 그렇기에 무난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은 반대로 단점으로도 작용하는데 '..

    2021.10.07
  • RAM????

    혹시 여러분은 '렘' 이라고 들어본 적이 있는가. 애니메이션을 생각했다면 당신도 나와같은 오타쿠이다. 아 물론 데스노트의 렘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우리는 IT에서의 렘을 한 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먼저 RAM이라는 것은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내용을 읽고 쓰고 지울 수 있는 휘발성인 기본메모리 또는 임시저장장치 의 일종이다. DIMM(Dual Inline Memory Module)이라는 모듈의 메인보드(마더보드)에 저장이 된다. 양쪽에 하나씩 두개의 핀이 있기 때문에 듀얼 인라인 이라고 표현한다. 여기에는 168.184. 240. 288개의 핀이 있다. 평균적인 메인보드에는 2~4개가 있다. 데이터나 프로그렘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먼저 렘에 로드를 ..

    2021.10.06
  • WSL2와 Ubuntu part.2(LV UP!)

    일단 클릭 해 보자 중요하다. 두 번 말하는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이다. 클릭 해 보자 https://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e_x64.msi 이제 당신의 컴퓨터는 해킹이 ㄷ... 가 아니라 WSL 버전을 1에서 2로 업데이트 시켜 주는 설치 툴이다. 귀여운 팽귄이 나타난다. 한국인들은 그냥 읽지않고 무조건 next다 클릭클릭클릭! 이 후 powershell에서 버전을 확인해 보자. 앵? 여전히 버전 1인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직 갱신을 안 했기 때문이다. * 여기서 주의할 점은 wsl -l -v 라고 입력해야지 wsl 을 입력 후 엔터를 누르면 안된다!! * 명령창에 wsl --set-version Ubuntu-20.04 2 라..

    2021.10.05
  • WSL2와 Ubuntu part.1

    ubuntu는 리눅스와 굉장히 유사한 OS이다. 둘 의 차이를 단 한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리눅스의 배포판 == 우분투' 종종 설치하고 사용해 봐야하는 우분투. 이것을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어떻게 설치해야하는지 알아보자. 우리는 먼저 WSL이라는 프로그렘을 설치해야한다. windows subsystem for linux, 즉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기능 이라는 의미이다. 리눅스의 기술인 ELF64바이너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 이것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 GUI도 사용할 수 있고 CLI를 통해서도 활성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IT를 공부하기 때문에 조금 멋있게 CLI를 통해서 작업을 시작해 보자. 먼저 ctrl + r 을 눌러 명령창을 열고 powershell을 ..

    2021.10.05
  • AWS Container part.2 (Docker 개요)

    이전 시간은 컨테이너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제 이어서 그 컨테이너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 docker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왠 귀여운 돌고래가있다. 이 돌고래의 이름은 도커이며 2013년에 탄생하였다. 컨테이너 생성, 저장, 관리 및 실행을 지원하는 '경량 컨테이너 가상화 플랫폼'이며 자동화된 구축, 테스트 및 배포 파이프 라인과 쉽게 통합될 수 있다. 도커의 장점 1. 기본적으로 도커는 휴대용(이동식) 런타임 애플리케이션 환경이다. 2. 애플리케이션 및 해당 종속성을 이미지라는 불변의 단일 패키지화 시킬 수 있다. 3.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는 도커가 지원하는 모든 곳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4.서로 다른 종속성과 라이브러리를 가진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5. 이..

    2021.10.04
  • AWS Container part.1(Container란 무엇일까?)

    선박, 건설현장, 영화 등 한 번쯤은 봤을 법한 컨테이너 박스이다. 현실에서는 운송업이나 건설업에서 사용하는 사물이나 사람을 보관할 수 있는 장소로써 쓰인다. 기본적으로 과거에는 대형 화물을 선박으로 옮겼고 이것은 고 비용이 들었던 방법이다. 18C부터 컨테이너 라는 개념이 활성화 되기는 했지만 1958년 국제 운송 컨테이너가 개발되며 표준화가 완료되었다. 이 시점 이후로 컨테이너는 일정하며 예측가능한 장점이 생겼다. 기차와 트럭, 배 등으로 손 쉽게 옮길 수 있게 되었고 이것은 "추상화를 사용해 민첩성을 높이는 훌륭한 예시"가 되었다. 뜬금없는지만 왜 이런 컨테이너에 대해 주저리 주저리 설명하고 있을까? 바로 AWS에서도 이런 컨테이너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컴퓨팅 세계에서의 컨테이너의 정의는 "모든 컴..

    2021.10.04
1 ··· 21 22 23 24 25 26 27 ··· 33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