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맛코드

치킨맛코드

  • 분류 전체보기 (196)
    • Cloud (62)
      • AWS(Amazon Web Services) (2)
      • AWS 기초 (46)
      • OpenStack (4)
      • Microsoft Azure (7)
      • Ansible (3)
    • DevOps (58)
      • Terraform (2)
      • Docker & kubernetes (25)
      • DevOps기초 (9)
      • Prometheus & Grapana (2)
      • helm (1)
      • CKA Test 준비 (17)
    • IT기초 (21)
      • linux와 운영체제 (6)
      • IT기본용어 (14)
    • Django (17)
      • 네트워크 (12)
    • JAVA 기초(임시중단) (7)
      • IntelliJ & SpringBoot (2)
    • 잡다한 IT (26)
      • 개발자도 궁금한 IT인프라 (9)
      • Springboot와 AWS로 혼자 구연하는 웹 .. (5)
    • 리뷰 (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치킨맛코드

컨텐츠 검색

태그

DHCP Kubernetes 방화벽의 종류 docker images Grafana 리뷰 띠부씰 스크린드서브넷 AWS ssh 기능별 방화벽 Docker 베스쳔호스트 docker compose 쿠버네티스 세대별 방화벽 telnet grafana error 도커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치킨맛 코드의 공부블로그 입니다

아카이브

분류 전체보기(196)

  • linux사용하기 part.1

    짜잔! 드디어 리눅스를 설치했다! 근데 우리가 생각하던 리눅스와는 좀 다르지 않은가? 일반적으로 리눅스 라고 한다면 검은 배경에 녹색의 명령어가 잔뜩 있는 화면을 기대했을 것이다. 마치 영화 매트릭스와 같이 말이다 걱정하지마라 곧 이런 화면을 질리도록 볼 수 있으니까 말이다. 우리는 전에 GUI(graphical user interface)기반의 리눅스를 설치했었다. 말 그대로 그래픽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설치했는데 매트릭스와 같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리눅스는 CLI(Command-line interface)라고한다. 먼저 왼쪽 상단의 프로그램 창을 클릭한 후 시스템 도구 를 클릭 해 보자. 이것저것 많이 나타나는데 우리는 여기서 '터미널' 이라는 슬롯을 클릭 해 보자. 매모장 비슷한 화면이 나타난다...

    2021.09.28
  • VMware를 활용하여 Linux설치하기 part.2

    이전시간에는 VMware를 통해 linux를 어떻게 설치하는지에 대한 기본을 알아보았다. 이전시간에 이어서 이제는 실제로 사용 가능한 linux를 설치해 보자. 이전시간에 완료된 centos7를 최초로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vmware를 클릭 후 키보드로 상하를 선택할 수 있다. install centos7을 선택 후 엔터를 눌러주자. 이때부터는 vmware의 창안과 밖은 구분된 공간임을 잊지말자. 이후 엔터를 누르면 프로세스가 인스톨됩니다. 라는 안내창이 나타난다. 엔터를 눌러주자. 뭔가 이것저것 깔리는게 전문가(?)가 된거같다. 시간이 지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뭔가 깔끔하고 UI도 있지 않은가?? 이제부터는 윈도우를 설치하듯 설치할 수 있다. 먼저 언어를 선택해야한다...

    2021.09.23
  • Storage의 구성요소 part.3(백업과 분석)

    스토리지의 활용성은 어떤 목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하도록 하는가에 대한 방식의 문제이다. 스토리지가 제공하는 복제 솔루션(원본과 같은 데이터를 복제하는 방식인 내부 복제, 원본과 다른 곳에 있는 스토리지로 같은 데이터를 복제하는 외부 복제)의 제공여부로 확인할 수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실시간 복제도 가능하다. 내부 복제는 주로 데이터 백업 등을 위해 활용되며 실시간 복제보다 특정 시점에 대한 복제를 위해서 사용한다. 원본 데이터를 즉시 복구시키기 위함이다. 테스트를 하거나 데이터 초기화를 위해서도 사용하기도 한다. 테이프 등의 별도 백업도 있지만 스토리지보다 관리요소가 많아서 주로 내부 복제를 활용하다. 외부 복제는 동기/비동기 방식으로 나누어서 복제를 하지만 주로 비동기 방식으로 많이 사용한다. 특히..

    2021.09.22
  • Storage의 구성요소 part.2(RAID란?)

    "레이드 한 판 하러가자." 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생각이 가장 먼저 들까? 게임을 아는 사람들이라면 아 저사람 와우 공격대를 하는가? 아니면 로스트아크를 하는가? 와 같은 MMORPG과 같은 게임에서 다수의 플레이어가 협동해서 대형 보스를 잡는 이벤트 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IT에서의 레이드는 철자는 RAID로서 같지만 전혀 다른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IT에서의 레이드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혹은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라고하는 엄청나게 긴 영단어의 축약이다. 한국어로는 복수 배열 독립 디스크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길고 복잡한 RAID는 0번부터 6번까지 있지만 기본적인 개념으로 1번인 미러링(m..

    2021.09.21
  • Storage의 구성요소 part.1(스토리지의 개념과 구성요소)

    종종 Storage 라는단어를 접하게 된다. 스토리지 라고 읽는데 이 단어는 어떻게 탄생되었으며 어디에 사용될까? 일반적으로 IT계열에서 '새로운 개념이 탄생했다.' 라는 의미는 기술이 발전했고 그것을 대체 혹은 개선하기 위한 무엇인가가 필요하다. 라는 의미이다. 기술이 발전함에따라 서버의 내장 디스크를 확장해서 데이터의 증가를 수용하고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전용 디스크 박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로 인해 나타난것이 스토리지 이다. 위의 그림은 스토리지의 개념적인 구조를 표현한 것이다. 가장 중요한 부분이 디스크 모듈인데 그 이유는 데이터의 I/O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디스크에서는 복제나 백업 같은 전용 솔루션이 포함되어 관리 효율성을 높여준다. 이때 컨트롤러를 통해 데이터..

    2021.09.21
  • 도메인 주도 설계(Domain Driven Development)

    'DDD' 뜬금없는 이 영단어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닌텐도 게임 중 별의 커비에 나타나는 디디디 대왕? 아니면 유희왕 카드에 나오는 카드군? 이 단어를 보고 생각하는 단어들은 무수히 많겠지만 오늘은 Domain Driven Development 즉 도메인 주도 설계 라는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다. 먼저 아래의 그림은 일반적인 프로세스를 운영할 때 필요한 직종과 그 프로세스에 대한 표 이다. 서비스를 만들거나 매출을 내는 직군은 크게 기획자, 마케터, 개발자, 디자이너 로 4가지 직군이 있다. 기획자는 사업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이 기획에 대한 상세한 요구사항을 정의해 둔다. 마케터의 경우 기획자와 비슷하게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지표 관리를 한다. 직접 서비스를 개발한 후에 ..

    2021.09.20
1 ··· 23 24 25 26 27 28 29 ··· 33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